본문 바로가기

728x90

Study/SpringFramework

(17)
10. 관심사의 분리와 MVC패턴 - 이론 25:06
09. 관심사 분리와 MVC 패턴 - 이론 24:36 1. 관심사의 분리 Separation of Concerns 해야할 작업(concern)을 관심사라고 정의한다. 우리가 좋은 객체지향 프로그램을 설계하려면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켜야 한다. OOP 5대설계원칙 - SOLID, 객체지향 설계 원칙(SOLID) - 단일 책임 원칙(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모든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지며, 클래스는 그 책임을 완전히 캡슐화해야 함 - 개방 폐쇄의 원칙(OCP, Open-Closed Principle):소프트웨어 개체(클래스, 모듈, 함수 등등)는 확장에 대해 열려 있어야 하고, 수정에 대해서는 닫혀 있어야 한다 - 리스코프 교체(치환)의 원칙(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컴퓨터 ..
08. 텍스트와 바이너리, MIME, Base64 31:40 7.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 바이너리 파일(읽을 수 없다면) : 문자와 숫자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텍스트 파일 (읽을 수 있다면): 문자만 저장되어 있는 파일. 파일 종류 쓰기 읽기 바이너리 문자 -> 문자 숫자 -> 숫자 문자 -> 문자 숫자 -> 숫자 텍스트 문자 -> 문자 숫자 -> 문자 문자 -> 문자 문자 -> 숫자 - 바이너리 파일은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읽고 쓴다. - 텍스트 파일은 숫자를 문자로 변환 후 쓴다. 8.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에 바이너리 데이터 전송하기 위해 고안 - HTTP의 Content-Type 헤더에 사용. 데이터의 타입을 명시 타입 설명 MIME타입 예시(타입/서브타입) text 텍스..
07. HTTP 요청과 응답 - 이론 36:22 1. 프로토콜(protocol)이란? @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지 약속하지 않으면? 1. 데이터가 와도 이 데이터가 어디부터 어디까지 어떤 내용인지를 해석할 수 없음. 2. 그래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서로 간의 약속이 있어야 하는데. 3. 어떤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건지 미리 정의한 것 4. 즉 주고 받을 데이터에 대한 형식을 정의한 것 @ 야구로 예를 들어본다면 (야구감독) ---------> sign (타자) 감독 왈 : 내가 모자를 만지면 번트를 해 코를 만지면 희생플라이 귀를 만지면 히트&run 이렇게 미리 약속을 하고 타자와 sign을 약속해야 소통할 수 있음. 서로 간의 통신을 위한 약속(protocol), 규칙을 정한다. @ 편지로 예를 들어 보면.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우표..
06. 설정 파일 - server.xml, web.xml 13:28 * Tomcat의 설정 파일 - server.xml @ Tomcat이 기동되면 1. ../conf/web.xml 공통 설정을 하고 2. ../WEB-INF/web.xml 각 프로젝트의 개별 설정을 한다. @ 설치된 Tomcat/conf 폴더의 파일 * STS는 여기 있는 파일을 복사해서 사용함. @ 이 파일은 Tomcat의 conf폴더에 있는 설정 파일의 복사본. - 하나의 Tomcat 프로그램을 공유하면서 설정만 다른 여러서버를 등록가능. @ server.xml 파일을 열어보면. - 서버 Server(Tomcat)가 있는데 - 그 안에 보면 Service가 있고 - Service 안에 Connector가 있다. - HTTP/1.1 프로토콜로 요청이 오면, 이 Connector가 처리하라. - 8080 ..
05. 클라이언트와 서버 34:25 1. HttpServletRequest browser -> URL을 입력 해서 -> request(요청) 하면 -> 해당 서버에 있는 Tomcat이 요청을 받아서 -> ㅁㅁ 객체저장 @위 과정을 뭘로 제공한다고? public void main(HttpServletRequest request) { // 메서드의 request가 제공한다. System.out.println("request.getMethod()="+request.getMethod()); // 이 메서드의 객체를 통해 뭘 얻을 수 있다고? } ->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HttpServletRequest의 메서드 ? 뒤에 추가적인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데 그걸 뭐라고 한다고?? @QueryString이라고 ..
04. HTTP 요청과 응답 - 예제 16:21 3. 클라이언트와 서버 client :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요약) 서버(server) : 서비스(service)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 요청한다.(request) ------> 서버(WAS) : Tomcat 클라이언트(Hello)
03. HTTP 요청과 응답 - 실습 26:52 package com.fastcampus.ch2; import java.util.Calendar; // 년원일을 입력하면 요일을 알려주는 프로그램. public class YoilTell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입력 String year = args[0]; String month = args[1]; String day = args[2]; int yyyy = Integer.parseInt(year); int mm = Integer.parseInt(month); int dd = Integer.parseInt(day); // 2. 작업 Calendar cal = Calendar.getInstance(); cal.set(yyyy, mm -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