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tudy/SpringFramework

(17)
18. @RequestMapping 21:56 2. @ModelAtrribute - 적용 대상을 Model의 속성으로 자동 추가해주는 애너테이션 - 반환 타입 또는 컨트롤러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적용 가능 //public String main(@ModelAttribute("myDate") MyData date, Model model) // 아래와 동일 public String main(@ModelAttribute MyDate date, Model model) throws IOException { //model.addAttribute("myDate", date); // 생략가능 //model.addAttribute("yoil", yoil); 컨트롤러 매개변수에 @RequestParam : 기본형, String @ModelAttribute : 참조형 애노..
17. @RequestParam과 @ModelAttribute 33:43 1. @RequestParam - 요청의 파라미터를 연결할 매개변수에 붙이는 애너테이션 @RequestMapping("/requestParam2") //public String main2(@RequestParam(name="year", required=false) String year) { // 아래와 동일 public String main2(String year) { System.out.printf("[%s]year=[%s]%n", new Date(), year); return "yoil"; } (@RequestParam(name="year", required=false) String year) 생략가능. // http://localhost/ch2/requestParam2 ---->> year=null..
16. 서블릿과 JSP(4) 21:36 11.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 접두사 taglib 정의되어 있어야 JSTL를 사용할 수 있음. EL은 지역변수 사용 불가. 그래서 저장소에 저장. Key Value "to" "10" scope="page"가 생략되어 있음. 배열저장. ${i} 1부터 10까지 출력. ${status.count}. arr[${status.index}]=${elem} 비어있지 않으면 하나씩 돌아서 넣음. varStatus = "status" count와 index를 갖고있음. msg=${param.msg} msg= c:out 태그을 사용하면 태그가 해석되지 않음. 텍스트로만 해석함. 자바스크립트 공격을 막을 수 있음. 메시지가 없습니다. 성인입니다. 성인이 아닙니다. 값이 유효하지 않습니..
15. 서블릿과 JSP(3) 39:36 9. URL 패턴 @WebServlet으로 서블릿을 URL에 맵핑할 때 사용. Servlet : lazy-init(늦은 초기화), loadOnStartup= 1 (미리 초기화.) @WebServlet(urlPatterns={"/hello", "/hello/*"}, loadOnStartup=1) //미리 초기화 (번호는 우선순위) 1. exact mapping(정확) /login/hello.do 2. path mapping(경로 매핑) /login/* 3. extension mapping(확장자) *.do 4. default mapping / Servlet Context 안엔 Map이 있는데 URL을 관리해주는 servletMappings에도 Map이 있다. DispatcherServlet 안에 내부적으로..
14. 서블릿과 JSP(2) 25:09 8. 유효 범위(scope)의 속성(attribute) HTTP 특징 - Stateless(상태정보 저장x), Stateful(상태정보 저장o) 접근범위와, 생존기간에 따라 4개의 저장소로 분류된다. 사용 목적에 따라 알맞은 저장소를 사용하면 된다. 저장소는 Map 형태로 되어있다. Key Value 속성1 속성값 1. pageContext lv를 저장한다. 기본객체(request, response)도 들어있다. 코드들은 login.jsp -> pageContext를 거쳐(같은 페이지) 접근(읽기, 쓰기)할 수 있다. pageContext는 &{ } EL 때문에 사용한다. (차후 설명) 2. application WebApp 전체에서 접근 가능. (공통저장소) Attribute -> 속성 저장소 Map에..
13. 서블릿과 JSP(1) 31:47 1. 서블릿과 컨트롤러의 비교 - JSP와 Servlet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 Servlet을 발전시킨게 Spring 이다. (Dispatcherservlet) 어디서 사용? Spring에서도 사용한다. 그래서 Servlet을 알아야한다. ?. WebServlet 이란? - @Controller + @RequestMapping 합친 형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형태) @WebServlet("/rollDice2"); ?. WebServlet과 @Controller의 차이점? - @Controller은 필요한 매개변수만 사용해야 한다. - 반면 @WebServlet은 메서드에 extends HttpServlet을 상속받아야하며, service가 있어야하고, 매개변수에 (HttpServiceReque..
12. 관심사의 분리와 MVC 패턴 - 원리(2) 30:09
11. 관심사의 분리와 MVC패턴 - 원리(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