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Spring (69)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부트 입문 14]수정 폼 만들기 * 학습목표 데이터 수정 페이지를 만드시오. 1. 진행 흐름 - show(상세 페이지)에 edit 링크를 연결하면 - 컨트롤러가 해당 요청을 받아서 edit(수정 페이지)를 보여줘야겠지요? - edit 페이지에서는 기존 내용을 보여줘야 하는데 - 이를 위해서 Repository를 통해 DB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합니다. - Repository는 요청으로 던져진 Entity 가져오고 - Entity는 View에서 사용할 수 있게 Model에 등록해야 합니다. - 그럼 Model에 등록된 데이터를 View 페이지에서 사용하면 되겠지요?? 2. 링크 걸기 templates/articles/show.mustache Edit - class = "btn btn-primary" bootstrap css 기능을 사용하.. [스프링 부트 입문 13]링크와 리다이렉트 * 학습목표 링크와 리다이렉트를 사용하여, 페이지 간 이동을 연결하시오. - 지난시간 Review MVC Controller + Model + View JPA Repository + Entity DB Data - 웹 게시판 흐름 시작점이 index(목록 페이지) ↔ show(상세 페이지) ↓↑ new(글 작성 페이지) Link Redirect for Request(요청) for Response(응답) Link : , 작성 - 미리 정해놓은 요청을 간편하게 전달 Redirect : 클라이언트에게 재요청을 지시함. - 재요청 -> 업무를 위해 A로 전화했는데 남은 없는 B에서 처리하니깐 B로 연락해주시겠습니까? 다시 B로 전화함. 클라이언트가 /articles/create -> 요청 서버가 redirect:.. [스프링 부트 입문 12]데이터 목록조회 * 학습목표 - DB 속 모든 Article 목록으로 조회하시오. 1. 브라우저 요청 받기. controller/ArticleController @GetMapping("/articles") 이라는 URL로 받아온다. 2. 컨트롤러 처리 흐름 - 1. 모든 Article을 가져온다! - 2. 가져온 Article 묶음을 뷰로 전달! - 3. 뷰 페이지를 설정! 3. 타입 캐스팅 - 데이터 타입이 맞지않아 빨간줄 뜨는데 해결방법 3가지 - findAll() 메서드 : 해당 Repository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받아옴. -- 1. 우리에게 익숙한 Array List 사용 - List articleEntityList = articleRepository.findAll(); -- 2. Iterable 타입으로 .. [스프링 부트 입문 11]데이터 조회하기 with JPA DB속 데이터를 조회하여, 웹 페이지로 확인하시오. 1. 데이터 조회 흐름 -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서 데이터를 요청한다 - 그 요청 URL을 컨트롤러가 받는다. - 받아진 URL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를 Repository에게 전달한다. - 이를 받은 Repository는 DB에게 정보를 보내고 - DB는 해당되는 정보를 찾아서 Entity로 보낸다 - 반환받은 Entity는 model을 통해 View 템플릿으로 보내지고 - 최종적으로 요청한 사용자에게 보내짐. 2. 데이터 생성 리뷰 3. URL 요청받기 @GetMapping("/articles/{id}") public String show(@PathVariable Long id){ log.info("id = "+ id); return ""; } --.. [스프링 부트 입문 10]롬복과 리팩터링 * 롬복을 활용하여, 기존 코드를 "리팩터링" 하시오. 1. 롬복이란 코드를 간소화 시켜주는 라이브러리 Getter(), setter(), constructor(), toString()... 일일이 귀찮게 만들기 싫어서 나온 도구 2. 롬복의 기능 필수 코드의 반복을 최소화할 수 있고, Logging 기능을 통해 개선, 즉 "리팩터링" 할 수 있다. Refactoring 이란? 코드의 구조 또는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 Logging 이란? 프로그램의 수행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는것, 자동차 블랙박스! 3. 기존 코드 확인 4. 실습 개요 @DaTa, @slf4j 롬복과 로깅 5. 롬복 라이브러리 추가 build.gradle에 dependencies{ 안에 롬복 라이브러리 두줄 추가 compileOnly 'or.. [스프링 부트 입문 09]DB 테이블과 SQL * 학습목표 저장된 데이터를 DB에서 직접 확인하기. 1. 테이블의 구조 Raw = 행, Column = 열 ARTICLE 엔티티 ID | TITLE | CONTEN 2. SQL의 CRUD 여기에 SQL 기능인 (CRUD) insert 입력, select 조회 update 수정, delete 삭제 데이터를 관리한다. 3. 지난 실습 리뷰 Client -> DTO -> Controller -> Entity -> Repository -> DB 전송 에서 객체를 통해 객체로 변환하여 일꾼을 통해 DB로 전송한다. 4. H2 DB 접속 설정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H2 DB, 웹 콘솔로 접근을 허용해줌. spring.h2.console.enabled=true 5. H2 DB 접속 htt.. [스프링 부트 입문 08]데이터 생성 with JPA Server에서 넘겨주는 언어는 Java, DB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SQL 따라서 DB는 자바를 이해하지 못하는데, 이를 위한 도구가 JPA이다. JPA에는 Entity와 Repository가 있는데 Entity는 Java객체(DTO)를 DB가 이해할 수 있는 규격화된 데이터인데 Repository라는 일꾼을 통해서 DB에게 전달되고 처리된다. == DB속 데이블에 관리되는 것 * 학습목표 DTO를 (Controller)를 거쳐 Entity로 변환 후 Repository 통해서 save() -> DB까지 저장시키는 과정. 1. 처리흐름 개요. - DTO를 변환! Entity로! form.toEntity() 라는 메서드로 호출하여 Article article이라는 타입의 엔티티로 반환해오는 작업 Artic.. [스프링 부트 입문 07]폼 데이터 주고 받기 * 학습목표 form에서 입력한 데이터 -> 던져진 데이터를 컨트롤러에서 확인하는 작업 1. 입력 폼 생성. - form요소 생성 -> temple/new.mustache 2. 컨트롤러 추가. - controller 생성 - 메서드 안에 return 값에 "form요소가 담겨있는 view 페이지를 호출" - @GetMapping("브라우저에서 접속하는 URL 주소") 3. 폼 데이터 전송. - form 요소 action="/articles/create"에는 정보를 보내줄 URL 정보를 적어주고 - method="post"는 보내줄 데이터 방식을 적어준다, "post" 비공개 "get" 공개 - 그리고 input요소와 textarea요소에 name="DTO 객체 이름"을 적어주고 - button의 subm..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