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Spring (69) 썸네일형 리스트형 06. 설정 파일 - server.xml, web.xml 13:28 * Tomcat의 설정 파일 - server.xml @ Tomcat이 기동되면 1. ../conf/web.xml 공통 설정을 하고 2. ../WEB-INF/web.xml 각 프로젝트의 개별 설정을 한다. @ 설치된 Tomcat/conf 폴더의 파일 * STS는 여기 있는 파일을 복사해서 사용함. @ 이 파일은 Tomcat의 conf폴더에 있는 설정 파일의 복사본. - 하나의 Tomcat 프로그램을 공유하면서 설정만 다른 여러서버를 등록가능. @ server.xml 파일을 열어보면. - 서버 Server(Tomcat)가 있는데 - 그 안에 보면 Service가 있고 - Service 안에 Connector가 있다. - HTTP/1.1 프로토콜로 요청이 오면, 이 Connector가 처리하라. - 8080 .. 05. 클라이언트와 서버 34:25 1. HttpServletRequest browser -> URL을 입력 해서 -> request(요청) 하면 -> 해당 서버에 있는 Tomcat이 요청을 받아서 -> ㅁㅁ 객체저장 @위 과정을 뭘로 제공한다고? public void main(HttpServletRequest request) { // 메서드의 request가 제공한다. System.out.println("request.getMethod()="+request.getMethod()); // 이 메서드의 객체를 통해 뭘 얻을 수 있다고? } -> 브라우저(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HttpServletRequest의 메서드 ? 뒤에 추가적인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데 그걸 뭐라고 한다고?? @QueryString이라고 .. 04. HTTP 요청과 응답 - 예제 16:21 3. 클라이언트와 서버 client :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요약) 서버(server) : 서비스(service)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 요청한다.(request) ------> 서버(WAS) : Tomcat 클라이언트(Hello) 03. HTTP 요청과 응답 - 실습 26:52 package com.fastcampus.ch2; import java.util.Calendar; // 년원일을 입력하면 요일을 알려주는 프로그램. public class YoilTell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입력 String year = args[0]; String month = args[1]; String day = args[2]; int yyyy = Integer.parseInt(year); int mm = Integer.parseInt(month); int dd = Integer.parseInt(day); // 2. 작업 Calendar cal = Calendar.getInstance(); cal.set(yyyy, mm - 1,.. 01. 원격 프로그램의 실행 28:24 1. 로컬 프로그램 실행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Hello"); } } CMD에서 실행한다면. > java Main ↵ java.exe(자바 인터프리터) → main() 메서드 호출하는데 static이라서 가능. Hello > _ @ static이 뭡니까? - 변수나 메서드에 키워드로 사용되는데, 클래스가 메모리에 올라갈 때 자동으로 생성된다. - 그래서 인스턴스(객체) 생성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다. 2. 원격 프로그램 실행 ?(실행할 방법) A 컴퓨터 ----------------> B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 1. browser가 있어야 A 컴퓨터 ----------------> B.. [스프링 부트 입문 17]CRUD와 SQL 쿼리 * 학습목표 데이터 CRUD 과정의 SQL 쿼리를 분석하시오. 실습 개요 1. 각 과정에서 수행되는 Query를 log로 확인해보기. 2. 확인된 log로 DB에서 직접 사용해보는 훈련 JPA 로깅 설정.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 JPA 로깅 설정 # 디버그 레벨로 쿼리 출력 logging.level.org.hibernate.SQL=DEBUG //SQL을 출력할때는 DEBUG레벨을 사용한다. 회사에서 업무를 하게되면, 무분별한 로그때문에 로그 확인시 어려움을 겪게되는데, 불필요한 로그로 인해 비지니스 로그를 찾기 힘들어진다. 그래서 레벨을 설정해주어 필요한 부분의 로그만 가져간다. # Log Level 종류 # TRACE : 추적 레벨은 Debug보다 좀더 상세한 정보를 나타냄.. [스프링 부트 입문 16]데이터 삭제하기 * 학습목표 Article 데이터를 DB에서 삭제하고, 이를 확인하시오. 데이터 삭제 흐름 3단계 1. 데이터 전달이 되면 /articles/{id}/delete 2. DB에서 찾고 삭제한다음에 3. index 결과페이지로 redirect한다, 삭제되면 알람 메세지 출력. 실습개요 삭제버튼추가 templates/show.mustache 에 button 추가. Delete //빨간색 버튼 삭제요청받기 //@DeleteMapping("articles/{id}/delete") HTML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아서 @GetMapping("articles/{id}/delete") 요청을 받아옵시다. public Stirng delete(){ log.info("삭제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return nul.. [스프링 부트 입문 15]데이터 수정하기 * 학습목표 수정 페이지의 데이터를 DB로 갱신하고, 이를 확인하시오. 데이터의 수정 흐름 3단계 1. 데이터를 받고 /articles/update - Form 데이터가 DTO에 담겨서 Controller로 전달이되면 2. 이를 가공해서 DB에 저장한 데이터를 - 이를 Entity로 가공해서 Repository를 통해 DB로 갱신 save() 한다. - 단 기존데이터가 있는경우에만 수정되어야 함. - 여기서 서버와의 역활 분담은 MVC가 - DB와의 소통은 JPA가 한다. - DB의 관리는 SQL 언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3. show 페이지에 출력 한다. - 데이터가 서버에 이동되는 과정(HTTP) 간단히 알아봅시다.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는 과정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 전송은 다양한 통신규약은 .. 이전 1 ··· 4 5 6 7 8 9 다음